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트러블슈팅
- 부꾸러미
- open contribution jam
- Database
- SQL
- 구슬
- DI
- 코드트리
- 보따리
- 부꾸
- bean
- 티스토리챌린지
- 동적 SQL
- 글또 #다짐
- 눈송이
- 글또
- 사이드 프로젝트
- 북극곰
- redis
- 모의면접
- 프로그래머스
- Spring
- jscode
- 후기
- 체험
- 오블완
- spring context
- jooq
- 테오의 스프린트
- dto projection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23)
벤티의 개발 로그
from? of?예전에 다른 백엔드 팀원과 코드를 합칠 때, 매우 난해했던 것이 있었다. 바로 DTO 클래스에 from, of 이라는 이름을 가진 메서드들이 있는 것이었다. 개인적으로 메서드나 변수 이름을 지을 때, '누가, 언제, 어디서' 확인해도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길게 짓는 편이었기 때문에 당황스러웠다. 당시 시간이 없었기 때문에 그냥 넘어갔으나, 얼마 전 다른 분의 코드에서도 비슷한 메서드들을 발견해서 '얘네는 뭘까?'라는 의문점이 생겼다.정적 팩토리 메서드구글링을 해보니, 그런 메서드들은 정적 팩토리 메서드(Static Factory Method) 라고 한다. 예전에 디자인 패턴에 관해서 공부한 적이 있는데, 그중 하나인 '정적 팩토리 패턴'과 비..
이 글은 2024년 4월에 Notion에 정리한 글을 재구성한 것입니다 😆 🚩 "에러가 있는 것 같아요!" 👀기존에 작성했던 코드를 리팩토링 하던 어느 날, 이메일을 이용한 본인 인증 API에 오류가 있는 것 같다는 연락을 받게 되었다. 정확히 어떤 오류인지는 전달받지 못했기에, 기존에 작성한 코드를 들여다보았다. '뭐지?' 당시 중간고사를 공부하고 있던 나는 빠르게 에러를 해결하기 위해 코드도 들여다보고, Postman에 정리한 Request Example들을 전부 다시 테스트해 봤다. 딱히 잘못된 것은... 없어 보였다. 정확한 판단을 위해 새로운 계정으로 회원 가입을 하고 다시 테스트를 해봤다. 의도한 대로 결과가 나왔다... 라고 생각한 순간, '잘못된 인증 번호 입력' 예외 처리에서 의도..
반복된 질문졸업을 앞두고 노트북에 자료를 백업하다가 재밌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내가 다운로드하지 않았다고 생각했던 파일들이 이미 내 노트북에 있었던 것이다. 아마 당시에 시간이 없어 급하게 필요한 내용만 확인하기 위해 그랬던 것 같다. 그렇게 학기, 과목 별로 제출했던 과제와 강의 자료를 정리하다가 자기소개서 생각이 들었다. 비슷한 시기에 노션과 워드를 이용해서 경험을 정리하고 있었는데, 한 가지 질문을 하루에도 몇번씩 반복했다."그거 어디갔지? 어디에 뒀지?" 분명히 한 것은 많은데, 많았는데 막상 경험을 정리하기 위해 노트북에서 증빙 자료를 찾으려고 했을 때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기도 쉽지 않았다. 어느새, 나는 내 이야기를 정리하는 것보다 자료를 찾는데에 시간을 더 많이 쏟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